간밤에 휩쓸고 간 609대란에 갤럭시 노트3(놋삼), 갤럭시 S5(갤파) 빵원폰으로? 아이폰 대란도 같이 오예스 빵원?
방통위 감시로 많은 판매업자들이 페이백을 주는 경우가 일상다반사가 되었습니다. 핸드폰 페이백이란 비싼 핸드폰 할부원금을 일부 현금지원으로 통장에 후일 입금해주는 조건으로 판매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할부원금 보조금 제한으로 50만원인 핸드폰 기종이 있다면(통신사에서 일정 금액 이상 못 내리게 조치된), 익월말 혹은 특정 시점에 50만원을 현금으로 되돌려줘 실질적으로 할부원금 0원에 구매하게 되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2013년 거성 사건이 일어났던 것처럼 페이백은 판매업체가 잠적할 경우 돌려 받기가 상당히 애매한 상황이 벌어집니다.(약 150억 규모의 페이백 금액을 거성 모바일이 구매자들에게 지급하지 않아 먹튀 논란이 일어났으며 결국 KBS 9시 뉴스에까지 나오게 됩니다. 때문에 페이백 조건을 타실 경우에는 판매자의 신뢰도를 주변에 물어보고 확인하거나 위험을 감수하셔야합니다.
페이백 주의점, 페이백 피하는 방법은? 단, 이를 피할 수 있는 몇가지 팁이 있는데 첫번째 페이백이 긴 업체는 피하셔야합니다. 대부분 익월말 지급이 많은데 3달이나 93일 이후에 지급한다는 업체들이 종종 있습니다. 되도록 피하시거나 적긴 하지만 당일 혹은 당월에 페이백 지급하는 업체를 택하시기 바랍니다. 두번째 업체 주소를 검색해보시기 바랍니다. 다음맵나 네이버 지도 등 업체 검색은 이제 인터넷으로 위치 파악까지 할 수 있습니다. 핸드폰 매장이 지도의 사진에 사라지고 최근에 생긴 업체라면 조금 신중하시고, 오피스텔이나 일반 사무실 같이 핸드폰 매장이 아닌 느낌이 드는 업체는 반드시 피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페이백으로 구매를 하셨다면 미리 해당 업체 사업자번호, 주소, 판매자명, 전화번호, 계약 조건 게시물 스크린샷 등을 꼭 저장해두세요. 확약서를 받는게 가장 증거를 남기는 방식이지만 비현실적인 방법이라 제외합니다. 대체적으로 페이백을 타지 않는 분위기도 많지만 현재로써 최신 기종을 싸게 구매하는 방법은 고위험으로 시장 판세가 변했습니다. 페이백을 절대 타지 않는다는 분들은 아쉽게도 옵티머스GK, 옵티머스G, 뷰2, 아이폰4(리메뉴), 갤럭시S3, 갤럭시 S4 미니, 갤럭시 그랜드 혹은 폴더폰을 선택하시거나 할부원금을 좀 더 비싸게 구매하시는 방법 밖에는 없습니다.
609대란이라 해야될까요? 어제 저녁부터 뜬금없이 등장했던 대란 소식에 휴대폰 구매에 가장 정보가 밀집된 뽐뿌의 휴대폰 게시판은 호황을 이루었습니다. 초보를 비롯하여, G3을 구매하고 후회하는 분, 몇일전에 G2를 20에 샀는데 빵원이 되었다고 안타까워 하시는 분 등 좌표 정보 교류와 함께 만감이 교차한 하루였습니다.
609 대란에 떴던 좋은 조건들의 핸드폰들은 삼성 갤럭시 노트3 일명 놋삼인 SM-N900S 모델은 SKT로 번호이동으로 할부원금이 9만~15만원이었으며, 약정할부는 24개월 필수유지 125일 가입비와 유심 지불, 요금제는 전국민69 93일 유지에 부가서비스 없는 조건이었으며, LGT로 번호이동은 80요금제에 93일 유지, 부가 추가, 필수유지 125~127일 조건선이었습니다. 갤럭시 노트 3은 SKT, LGT 번호이동이 좋은 조건이었으며, KT 번호이동은 갤럭시 S5 (SM-G900S) 일명 갤파는 할부원금 6만~9만원에 조건은 위와 흡사하였습니다. 또한 베가 아이언2도 69요금제 95일 유지 등으로 할부원금 0원 빵원폰으로 올라오기도 하였습니다.
그 밖에도 아이폰 대란이라고 할 수 있는데, 아이폰5C가 출고가가 조정되었다가 잠잠했었다가 아이폰5 기존 할부원금 29만원이 빵원폰으로 KT와 SKT 번호 조건으로 올라왔었습니다. 조건은 SKT 번호이동이 69요금제 10월 1일까지 유지, 가분유후부무 혹은 가무유무였습니다. 또한 아이폰5S도 익월말 페이백으로 125일 유지 할부원금 0원으로 나오기도 하여 아이폰 신도들을 흥분시켰습니다. 그 밖에도 LG 옵티머스 G2와 갤럭시 노트2(놋투)도 할부원금 0원에 올라왔습니다. 갤럭시 노트2는 SKT로 번이 시 가면유면 55요금제였으며, KT는 일부 판매자가 34요금제를 잘못 올렸다가 리플이 쇄도하기도 하였으나 대부분 완전무한 67 3개월 유지가 대부분이었습니다.
55요금제를 기준으로 대략 실제 유지비를 계산해보면 93일에 20만원 정도 나올 것입니다. 폰테크들이 상당히 환호를 지르며 집중 투자를 했을 것으로 보이는 시기인 만큼 일반 핸드폰 실사용자들도 좋은 조건에 핸드폰을 바꾸실 수 있었던 시기였지 않나 여겨집니다. SKT는 오늘 새벽 3시 이후 심야시간대 경쟁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갤럭시S5와 갤럭시 노트3의 좋은 조건이 계속 나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아마 6월말에 상반기 결산을 고려하여 소비를 부추시는 형상이 이어질지도 모르겠지만 간헐적으로 방통위의 감시도 계속되어 야간 스팟이 성행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라이트 유저고 기변증 여유가 있으시다면 갤럭시 노트2 번호이동으로 55요금제에서 34요금제로 내려가길 기다리시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입니다.
어제 오늘 휴포상황을 묘사한 EOSS님 풍자 이미지
http://www.ppomppu.co.kr/zboard/view.php?id=phone&no=2591677
'IT, 모바일,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민성 대장증후군에 좋은 음식들 (0) | 2017.02.18 |
---|---|
인터넷 익스플로러 32비트 실행 방법 (0) | 2016.08.31 |
sen raw 플래시 이미지 저장 방법 뚫는 방법 (0) | 2016.05.23 |
우체국 알뜰폰 가입 요금제 우체국 알뜰폰 판매 위치 검색 우체국 대란 (1) | 2016.01.04 |
삼성 갤럭시 알파(Galaxy Alpha) 스펙 및 가격 및 사진 (0) | 2014.08.14 |
G3 대란? 528대란? 최신기종 G3 가격 할부원금 0원에 급습, LGT G3 스펙 (0) | 2014.05.28 |
521 대란 기대감에 뽐도스, 소문난 잔치집에 먹을 것이 없다 (0) | 2014.05.20 |
곡면 디스플레이 LG G 플렉스(Flex) 출시, 발매일과 스펙은? (0) | 2013.10.29 |